반응형

미국 FOMC에서 금리 인하 스탠스에서 금리 인상으로 변경되었다는 배런스의 보도가 나왔는데요. 최근 몇 일간의 하락과 함께 이슈가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 이슈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배런스의 금리인상 보도

https://m.g-enews.com/article/Global-Biz/2024/02/202402152205196314a01bf698f_1

 

FOMC 통화정책 전면 수정 "금리인하→인상" …배런스(Barrons) 보도 - 글로벌이코노믹

미국 연준 FOMC 가 금리인하 계획을 포기하고 오히려 금리인상으로 통화정책 기조를 전면 수정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뉴욕증시에 비상이 커졌다. 뉴욕증시뿐 아니라 달러환율 국채금리

www.g-enews.com

*위 원문을 요약한 내용입니다.

 

  • 인플레이션이 생각보다 높아 FOMC는 금리 인상을 고려하고 있음
  • FOMC는 과거부터 인플레이션 2% 유지를 목표로 하고 있음
  • 일부 전문가들의 스탠스도 향후 금리를 다시 인상할 수 있다고 함
  • 금리 인상으로 대출 금리 상승, 가계 기업의 소비와 투자 억제를 노림

한 줄 요약하면 인플레이션이 생각보다 높게 나타났고, 금리 인상을 고려하고 있다는 얘기인데요. 특히 마지막 요약부분을 보면 "가계 기업 소비와 투자 억제를 노림" 이라고 제가 적어뒀는데, 미국의 소비 특성은 가계 저축이 부족해도 소비를 줄이지 않는 다는 점이라 소비 억제가 어려울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한국의 경우 일반적으로 경제가 어려워지면 가계 소비를 줄이는 편인데 미국은 전혀 줄이지 않는다는 점이죠. 

 

그런데 그냥 이 보도를 단순히 믿을 수 있을까요? 찾아보니 배런스가 그렇게 신뢰도가 높은 언론사는 아닌 것 같아서요. 직접 Fedwatch를 통해 금리에 대한 전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 보시는 분들도 이런 보도 글을 있는 그대로 믿지 마시고, 직접 팩트 체크 하는 습관 가지시길 바랍니다.

 

2. 금리 전망 팩트 체크

FedWatch로 금리 전망을 알아보는 법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미국 금리 전망, 추이를 알 수 있는 FedWatch

미국 금리 전망에 대해서 많은 투자자분들이 궁금해하실텐데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향후 통화 정책에 대한 시장 기대치를 추적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어서 소개드립니다. CME 그룹의 FedWath

combee.tistory.com

fed watch 금리 확인
fed watch

현재의 금리 전망입니다. 5.25 - 5.50 라인(현상 유지)을 보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죠. Fed Watch에서 봤을 때는 딱히 인상을 크게 고려하고 있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줄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의 표를 보시죠.

fed watch 금리 확인 테이블
fed watch

1달 전에는 5.00 - 5.25(금리 인하)를 전망하는 수치가 46.2%였지만, 하루 전에는 10.0%로, 현재는 8.5%로 낮아져있습니다. 즉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감소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요약: 배런스는 금리 인상할 것이라는 보도를 했다. 하지만 FedWatch를 통한 직접 확인 결과, 금리 현상 유지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하지만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줄고 있는 추세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