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의 24년 4분기 실저기 발표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는 대폭락으로 이어졌는데 왜 그렇게 되었는지 간단히 살펴보려고 합니다.

구글은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장 마감 때는 주가가 207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장 외에서 7%나 하락을 하며 192달러로 회귀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클라우드쪽에서 0.2B만큼의 예상 매출을 달성하지 못했으며, 2025년에 투자 관련해 지출로 750억 달러가 지출될 것으로 발표되면서 크게 하락하였습니다.
사업 부문별 실적
구글의 보고서에 보면 사업 부문별 실적이 나와있습니다.

AdSense, AdMob, Google Ad Manager를 통해 외부 웹사이트와 앱에 광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Google Network 부분을 제외하면 대부분 성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번에 문제가 된 클라우드 부분을 보면 사실 전년 대비 성장을 굉장히 많이 했습니다. 분기로 봤을 때, 예상 매출에 0.2B 부족해서 하락을 많이 하긴 했는데 솔직히 이 정도 하락할 문제는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클라우드 부분에 대해 보고서에서 언급된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Google Cloud revenues increased 30% to $12.0 billion led by growth in Google Cloud Platform (GCP) across core GCP products, AI Infrastructure, and Generative AI Solutions.(Google Cloud 매출은 핵심 GCP 제품, AI 인프라, 그리고 생성형 AI 솔루션의 성장에 힘입어 30% 증가한 120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Total operating income increased 31% and operating margin expanded by 5% percentage points to 32%.(총 영업이익은 31% 증가했으며, 영업 마진은 5%p 증가하여 32%를 기록했습니다.)
Net income increased 28% and EPS increased 31% to $2.15.(순이익은 28% 증가했으며, EPS는 31% 증가한 2.15달러를 기록했습니다.)
750억 달러 자본 지출은 어디에?
보고서에는 750억 달러 자본 지출은 주로 부동산과 장비 구매에 사용된다고 설명되어있습니다. 아마 최근 딥시크와 오픈AI와의 AI 경쟁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투자가 이뤄지고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결과적으로 전년 대비 보았을 때 잘 성장하고 있고, 자본 지출은 앞으로의 AI 경쟁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저는 이번 실적이 잘 나왔다고 보고 있습니다. 오히려 자본 지출이 750억 달러로 늘었는 것은 투자를 더 공격적으로 한다는 것이고, 그럴 정도로 여유가 있다는 것이니까 이 부분도 긍정적으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최근 계속 나오고 있는 노트북lm이나 Gemini 2.0모델 등 새로운 모델들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니 앞으로도 기대를 해도 되지 않을까 싶네요.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앤케리트레이드 청산 가능 금액 추정(한국은행 보고서) (3) | 2024.09.26 |
---|---|
향후 엔화 투자와 미국 금리 인하에 대한 생각 (1) | 2024.08.20 |
미국 금리와 엔화의 향후 움직임 전망 (0) | 2024.07.26 |
외화RP 개념과 원금 손실 위험성 장단점 쉬운 설명 (0) | 2024.05.17 |
24년 4월 12일 미국 금리 인하 전망 (0) | 2024.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