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볼린저 밴드 확인 및 활용 방법
볼린저 밴드 확인 및 활용 방법

1980년대에 존 볼린저가 개발한 투자 지표입니다.
기본적으로 20일 이동평균선으로 주가를 판단합니다.
선은 총 3개가 있는데요, 상위, 중간, 하위로 이뤄져있습니다.


1. 기본 개념

기본적으로 20일 이동평균선으로 지정되기 때문에
1-1. 중간선: 20일 이평선
주어진 기간 동안의 평균 가격
1-2. 상위선: 20일 이평선 + 표준편차 * 2
주가의 상한선으로 주가가 상단선을 넘었을 때는 상대적 과매수 상태로 간주
1-3. 하위선: 20일 이평선 - 표준편차 * 2
주가의 하한선으로 주가가 하한선을 넘었을 때는 상대적 과매도 상태로 간주
즉, 볼린저 밴드는 상위선과 하위선을 기준으로 주가의 과매수 및 과매도 상태를 판단해서, 주식의 진입 또는 청산 시점을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는 지표입니다.


2. 표준편차를 쓰는 이유

이 부분은 몰라도 되지만 궁금하실 분들이 있으실까봐 작성해봅니다.

2-1. 왜 표준편차를 쓸까?

표준편차는 통계에서 데이터 집합의 분산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주식에서는 가격의 변동폭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즉 표준편차가 클수록 가격 변동성이 크며, 작을수록 변동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동평균선은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 평균을 나타내므로, 여기에 표준편차를 더해주면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 평균(이동평균선)에서의 가격 변동폭(표준편차)도 알 수 있는 것입니다.

2-2. 왜 표준편차의 2배를 쓸까?

통계학적으로 표준편차의 2배는 데이터의 약 95%를 의미합니다. 특정 데이터의 95%는 그 데이터의 특성을 모두 표현한다고 보므로, 통계학의 이 개념을 그대로 차용해와서 사용합니다.

그래서 정리하자면,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 평균을 나타내는 이동평균선에, 가격 변동폭을 의미하는 표준편차를 가져와서, 특정 기간 동안의 적정 가격과 상한 및 하한 가격을 알기 위해 볼린저 밴드를 사용한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이 데이터는 대표성을 가져야하기 때문에 표준편차에 2배(데이터의 95%를 설명)를 곱해줍니다.

 

3. 확인 방법

키움 기준입니다. 

특정 종목의 차트로 이동해서, 볼린저밴드를 체크해주면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표 - 볼린저 밴드에서 켜면 확인 가능
지표 - 볼린저 밴드에서 켜면 확인 가능

노란색 마커로 표시해놓은 빨간색 선이 상단선, 파란색 선이 하단선입니다.

상단선은 빨간색, 하단선은 파란색으로 표현된다
상단선은 빨간색, 하단선은 파란색으로 표현된다

금일(24년 3월 7일) 기준 볼린저 밴드 하단을 뚫고 내려갔으므로, 과매도 구간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3월 7일 기준 과매도 구간으로 볼 수 있음
3월 7일 기준 과매도 구간으로 볼 수 있음

4. 활용 방안

활용 방안은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1. 스윙(단타)을 치거나

2. 장투를 하려고 하는데 진입 시점을 잘 모르겠을 때

3. 장투 중 일부 수익실현을 하려고 하는데 언제 해야할지 모르겠을 때

 

직접 투자할 종목 또는 투자 하고 있는 종목의 차트에 들어가서 볼린저 밴드를 확인해보세요.

정확도가 엄청 높습니다.

 

연습삼아 소액으로 한 번 해보시고, 투자를 할 때 참고지표로 쓰시면 됩니다.

 

참고 지표 중 하나이지 이 지표만 보시고 투자하시면 안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