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려고 여러가지 정보를 알아보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5년이란 기간이 길기 때문에 중도해지 시 이자는 얼마나 보장해주는지, 비과세는 적용해주는지, 정부기여금은 유지되는지에 대해서 궁금하실겁니다. 저도 궁금해서 찾아봤는데요. 오늘은 그 정보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해지 종류에는 만기해지, 특별중도해지, 일반중도해지 총 3가지가 있습니다.

1. 만기해지

납입기간이 만료하여 적금 납입액과 정부기여금을 수령하고 계좌를 해지하는 경우입니다. 재가입이 불가능합니다.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 기본 금리, 우대 금리를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

2. 특별중도해지

2-1. 특별중도해지 사유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93조의8제7항에 따른 사유에 해당할 때 신청가능한 해지방법으로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 기본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우대 금리에 대해서는 홈페이지에도 자세히 설명이 안나와있었는데요. 우대 금리의 경우 각 은행의 정책마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본인이 가입할 은행에 직접 물어보셔야 합니다. 물어보실 때는 특별중도해지할 때 우대금리도 지급하나요?라고 물어보시면 됩니다. 근데 은행에서 본인들에게 유리하게 상품을 만들기 때문에, 만기 시에만 우대금리를 지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제로 저는 주거래 은행이 우리은행, 대구은행이라서 둘을 확인해보았는데요. 둘 다 만기 시에만 우대 금리를 지급한다고 했습니다.

재가입은 불가합니다.

인정사유로는 아래 표와 같은데요. 보통 사람들에 해당하는 것은 퇴직, 입원치료, 주택구입일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에는 출산, 결혼 시에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주택구입의 경우 생애최초 주택구입이니 참고해주세요. 

특별해지사유 및 증빙서류
특별해지사유 및 증빙서류

2-2. 특별중도해지시 제출 서류

퇴직은 퇴직소득원천징수영수증 또는 퇴직증명서, 입원치료는 진단서, 주택구입은 건물등기사항전부증명서, 건축물대장 등 서류가 필요합니다. 출산, 결혼 시에도 서류가 필요할 것인데요. 아직 공식적으로 어떤 서류가 필요하다는 발표는 나지 않았습니다.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 기본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3. 일반 중도 해지

가입 이후 만기 도래 전 특별한 사유 없이 계좌를 해지하는 경우이며, 신규 가입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재가입이 가능하나 기본 금리 중 일부만 지급되고 정부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이 제공되지 않습니다.(은행 변경을 위한 해지 포함)

해지월 기준 2개월 후부터 재강비 신청이 가능하며 재가입 계좌의 계약기간은 60개월 고정입니다.

정부기여금은 계약기간에서 기 가입기간을 차감한 비율로 적용입니다. 예를 들어, 원래 가입한 계좌에서 정부기여금을 10개월 받았다면, 재가입한 계좌에서의 정부기여금은 10개월을 빼고 50개월 동안만 지급합니다.

4. 정리

종류 이자 비과세 적용 여부 정부기여금 지급 여부 재가입 여부
만기해지 기본, 우대 o o x
특별중도해지 기본 o o x
일반중도해지 기본 중 일부만 x x o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작년 연말에 청년 주택 드림 통장에 대해서 글을 올려드렸었는데요. 몇 일 전에 예고대로 청년주택드림통장이 출시되어서 다시 한 번 알려드립니다.


1. 청년주택드림통장

https://combee.tistory.com/25

 

청년 주택 드림 통장, 청년 주택 드림 대출 일정 중요 부분 보기

11월 24일 청년 내집 마련을 위해 역대 최초로 생애주기로 혜택을 주는 정책이 발표되었는데요. 필요한 부분만 간략하게 정리해봅니다. 전문은 여기 국토교통부 사이트에서 보시면 됩니다. 주요

combee.tistory.com

국토교통부에서는 청년 주거 지원 정책으로 청년 주택 드림 통장, 청년 주택 드림 대출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에 글에서 조건은 아래와 같은데요. 상세한 설명은 지난 글에서 해드렸으니 참고해주세요.

청년 주택드림 대출 요건

아래 이미지 처럼 청년 내 집 마련 1,2,3 주거지원 방안이라고 해서 생애주기별로 지원을 하고 있는데요. 일단 이번에 출시된 것은 청년 주택드림 통장입니다. 전에도 말씀드렸다시피 이미 청년우대청약 통장을 가지고 계신다면 자동으로 전환되니, 확인만 해주시면 됩니다.

청년 내 집 마련 생활주기

아직 우대청약통장이 아니라 일반 청약통장인 청년분이시라면 은행에 가서 전환을 요청해야하는데요. 각 은행마다 다르다보니 은행별로 연락을 해서 하는 방법 등을 알아본 다음에 직접 은행에 방문하셔서 전환하시길 추천드립니다.

2. 활용 방안

활용방안

활용 방안은

(모으기) 청년 주택드림 청약 통장으로 목돈을 모으고

(대출) 청년 주택드림 청약 대출로 대출을 받아

집을 구매하는 것입니다.

위에서 1,2,3으로 생애주기 형태로 설명을 하고 있는 것도, 청년 주택드림 청약 통장과 함께 대출도 이용해라는 의미로 내놓은 정책이기 때문입니다.

3. 주요 일정

주요 일정

내용을 보고 난 대출만 받아야지하고 바로 대출을 찾으실 분이 있으실 수 있는데, 대출은 아직 출시되지 않았습니다. 대출 신설 예정일은 24년 12월로 올연말입니다. 아직 많이 남았죠? 그래도 어차피 청년 주택드림 대출을 받으려면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신설 후 1년이 지나야하기 때문에 그 기간을 기다리는 기간이 필요해 상관없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청년 주택 드림 청약 통장으로 청약 통장을 신설한다하시는 분은 청년 주택드림 대출을 받으려면 25년 2월까지는 유지를 해주셔야 대출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단, 기존 청약 통장 기간이 인정되므로, 기존 청약 통장이 1년 지나신 분들은 24년 12월 청년 주택드림 대출 신설되자마자 바로 대출 가능합니다.


청약 통장은 출시되었지만, 아마 청년 주택드림 대출은 아직 기간이 조금 남았기 때문에 세부적인 사항이 변동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변동사항이 있으면 다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국민연금 구조개혁에 대해 KDI에서 연구한 신연금 도입 연구가 발표되었습니다. 연금 관련 문제는 우리 모두에게 적용되는 문제라 흥미로워 정리해보았습니다.

* 해당 발표 내용은 공식 도입된다는 정부 발표가 아니라 KDI에서 발표한 연구내용입니다. 오해하지 말아주세요.


https://www.kdi.re.kr/research/focusView?pub_no=18231

필요성

국민연금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 변화
국민연금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 변화

우리나라 국민연금 제도는 1988년 1월 도입. 소득대체율을 70%로 설정한 반면, 보험료는 소득의 3.0%만 부과했습니다. 재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득대체율을 점진적으로 40%까지 인하, 보험료율은 9% 인상하는 노력을 해왔습니다만, 심각한 재정문제는 해소되지 않고 심화만 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재정수지 및 적립금 추계 결과
국민연금 재정수지 및 적립금 추계 결과

신연금 도입방안

완전적립식 신연금 도입

미래 세대에게 기대수익비 1(넣은 만큼 받는)을 보장하기 위해 완전적립식 연금 도입. 개혁 시점부터 납입되는 모든 보험료는 신염금의 연금기급으로 적립되고 향후 기대수익비 1의 연금 급여를 지급하는 것입니다.

개혁 이전 구연금은?

개혁 시점 이전 이미 납입한 보험료에 대해서는 구연금 계정으로 분리하여, 이전 기대수익비 1이상의 급여 산식(기존 연금 주던 방식 그대로)에 따라 연금을 지급합니다. 이럴 경우 지금 우려와 같이 연급급여 총액 충당을 못해 재정부족분이 발생하는데요, 이는 신연금과 상관없이 일반재정(정부지원)으로 충당하자는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연금 개혁안 비교
연금 개혁안 비교

개혁을 하게 된다면
신연금 -> 새로운 방식으로 받음. 부족분은 발생하지 않음(넣는 만큼 받기 때문)
구연금 -> 기존 받는 방식 그대로 받음. 부족분은 정부 지원으로 충당

신연금 도입의 장점?

연금재정의 안정

넣는 만큼 받기 때문에(기대수익비 1) 미래에는 지금 구연금 처럼 재정 문제가 발생할 거의 없습니다.(이론상)

상대적으로 낮은 보험료율 인상률

국민연금 쟂어수지 및 적립금 추계 결과
국민연금 쟂어수지 및 적립금 추계 결과

현재 기금 고갈을 막기 위해 보험료율을 두 배 수준인 18%로 올릴 경우 기금 고갈 시점이 2080년대로 이연되기는 하나, 그 이후 세대는 보험료율을 30 ~ 40%까지 올려야합니다. 지금과 같은 재정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거죠. 하지만 신연금을 도입하면 앞으로의 세대들은 보험료율을 15.5% 정도까지만 올리면 현재의 소득대체율인 40%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세대 갈등 감소

신염금 도입시 세대별 차이
신염금 도입시 세대별 차이

기성세대는 지금까지의 제도대로 돈을 받기 때문에 불만이 적고, 신세대들은 보험료율을 조금만 인상시켜도 되기 때문에 불만이 적습니다.(구연금을 많이 낸 기성세대는 기대수익비 2, 50대 정도인 중간 세대는 기대수익비 1.5, 신연금을 낼 세대는 기대수익비 1에 수렴합니다) 

빠를수록 좋다

시간에 따른 보험료율 변화
시간에 따른 보험료율 변화

현재도 기금은 고갈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신연금이 빨리 도입될수록 재정 문제 발생 가능성은 줄어들 것이고, 세대 간 갈등도 줄어들 것. 시간이 갈수록 젊은 세대가 부담해야할 보험료율은 증가할 것입니다.


요약: 국민연금 재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연금(기대수익비1)을 KDI에서 제안함. 개인적으로 합리적인 방법이라 생각하며, 정부에서 어떤 방식이든 조치를 취했으면 함

반응형
반응형

스팀으로 콘솔 게임을 하다보니 용량이 슬슬 차고 있습니다. 1TB 사용 중인데 아직까지는 게임을 삭제하고 설치하고 하면서 유지 중입니다. 그런데 가끔 삭제했던 게임을 잠깐 다시 하고 싶은 경우, 재설치 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저장장치를 새로 추가하려고 하는데요. 저장장치 추가할 때 어떤 것들을 고려해서 해야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기본 순서

메인보드는 이미 보유하고 있다는 가정하에 설명하겠습니다.

기본적인 순서는 내 메인보드 확인 -> SSD or HDD 선택 -> 구매순으로 진행합니다.

내 메인보드 확인을 먼저 진행하는 이유는 메인보드 모델마다 저장장치를 꽂을 수 있는 소켓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보통은 저장장치를 1~2개를 사용하기 때문에 무리가 없겠지만, SSD(NVMe) 슬롯이 1개인 경우가 있는데 추가로 SSD(NVMe)를 구매하면 꽂지 못하는 불상사가 발생하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해줍시다.

2. 알아야할 지식들

2-1. SSD와 HDD 특징

우선 SSD와 HDD의 특징에 대해 알아야합니다. 개념은 간단히 읽고 지나가도 되니까 아래 표만 참고해주세요.
SSD: 플래시 메모리 칩 사용 방식. 데이터를 전자 신호로 저장 및 읽음
HDD: 자기 디스크 사용 방식.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저장 및 읽음

ssd와 hdd 특징
ssd와 hdd 특징

저렴한 가격, 높은 용량 -> HDD, SSD(SATA3)

빠른 속도, 내구성, 소음 없는 환경 -> SSD(NVMe)

2-2. NVMe vs SATA3

여기서 SSD가 SATA3와 NVMe로 나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SATA3에 꽂는 SSD는 HDD와 유사하게 속도가 느리지만 용량 선택 범위가 넓고, 가격이 저렴한 SSD입니다. 즉, 속도로 보면

SSD(NVMe) > SSD(SATA) > HDD

입니다.

2-3. 3세대 vs 4세대

PCIe(NVMe SSD)에는 세대가 있습니다. 3세대 또는 4세대에 대부분 해당할 건데요. 당연히 4세대가 더 빠른 속도입니다. 그래서 SSD NVMe를 선택할 때는 내 메인보드가 몇 세대 PCIe를 지원하는지도 확인하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1. 메인보드가 4세대 PCIe(NVMe SSD)를 지원 / SSD를 3세대 NVMe SSD 장착 -> 3세대 속도만 나옴

2. 메인보드가 3세대 PCIe(NVMe SSD) 를 지원 / SSD를 4세대 NVMe SSD 장착 -> 3세대 속도만 나옴(메인보드 지원이 3세대기 때문)

3. 메인보드가 4세대 PCIe(NVMe SSD) 를 지원 / SSD를 4세대 NVMe SSD 장착 -> 4세대 속도 나옴

그래서 본인 메인보드가 만약 4세대 NVMe SSD를 지원한다면 SSD도 4세대를 장착해주면 최대의 속도를 느끼실 수 있습니다. 물론 비용은 조금 더 상승하겠지만요.

 

*** 정리해보자면 SSD or HDD 중 선택 -> SSD라면 NVMe, SATA3 중 선택 -> NVMe라면 3세대, 4세대 중 선택. 단 모든 조건은 메인보드의 소켓에 따라 달라진다

*** 운영체제, 게임은 무조건 SSD(NVMe)에 설치합시다. 운영체제는 부팅 속도에, 게임은 게임 로딩 속도에 큰 영향을 줍니다.

3. 본격적 구매를 시작해보자

3-1. 내 메인보드 확인하기

메인보드에 꽂을 수 있는 소켓 확인을 위해 내 메인보드 확인이 필요합니다.

(1번 방법) 명령프롬프트 사용

검색(windows + s 키) -> cmd

명령 프롬포트
명령 프롬포트

cmd에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어떤 메인보드인지 나타납니다.

wmic baseboard get product

명령프롬포트에 위 코드 입력
명령프롬포트에 위 코드 입력

(2번 방법) 시스템 정보 사용

검색(windows + s 키) -> 시스템 정보 -> 시스템 모델 확인

시스템 정보 사용
시스템 정보 사용
요약에서 확인
요약에서 확인

확인한 메인보드 모델명을 구글에 검색해줍니다.

h610mh 검색
h610mh 검색

그럼 다나와 같은 사이트에서 해당 모델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들어가보면 아래와 같이 많은 정보가 있는데요. 그 중 우리는 저장장치에 대한 정보만 확인해주면 됩니다. 해당 모델 같은 경우에는

저장장치 M.2: 1개, SATA3: 4개 라고 되어 있는데요. M.2 = SSD(NVMe), SATA3 = HDD, SSD(SATA3)로 이해해주시면 됩니다. 즉 제 저장장치 슬롯은 NVMe SSD는 1개, HDD or SSD(SATA3)는 4개 꽂을 수 있습니다.(일부 모델은 NVMe 활성화시 1개의 SATA3 활성화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제품 상세페이지에서 확인해보세요.)

저장장치 확인
저장장치 확인

또 다른 예입니다. A620M의 스펙을 보면

다른 예시
다른 예시

NVMe SSD 2개, SATA3 4개를 연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파란색 부분에 M2 연결: PCIe4.0이라고 적혀있는 것 보이시나요? PCIe 4세대를 지원하는 메인보드라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위의 H610MH D4는 이것이 적혀 있지 않은 것에 대한 의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3세대이기 때문에 적혀있지 않은건데 제품 상세 페이지에 들어가보면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pcie 4
pcie 4

3-2. SSD or HDD 선택(검색 방법)

  • HDD: HDD 용량. ex) hdd 1tb, hdd 5tb
  • SSD: SSD 종류 용량. ex) ssd nvme 1tb, ssd sata3 1tb
  • 또는 컴퓨터 부품 전문 판매업체 사이트에 들어가서 조건 체크 후 검색

ssd nvme 1tb를 검색했을 때 보면, nvme는 뭔가 칩 같이 생겼습니다.

ssd name 1tb 검색
ssd name 1tb 검색

상세 페이지에 들어보면 NVMe, PCIe가 몇 세대인지 적혀있으니 꼭 확인합시다.

pcie 3.0 상세 페이지에서 확인
pcie 3.0 상세 페이지에서 확인

ssd sata3 1tb를 검색했을 때 뭔가 생긴게 하드디스크, 화장품?, 위장크림? 처럼 생겼습니다.

ssd sata3 1tb 검색
ssd sata3 1tb 검색

상세페이지에 들어가보면 sata 라고 적혀있으니 확인하고 구매합시다.

sata 상세 페이지에서 확인
sata 상세 페이지에서 확인


요약: 구매하기 전 메인보드 소켓 수를 꼭 확인하자. 운영체제, 게임 설치를 위해서라면 SSD를 구매하자. SSD를 구매할 때는 NVMe(3세대, 4세대)인지, SATA3인지 확인하자.

반응형
반응형

국내에서는 많이 알려져있지 않지만 MS에서 운영하는 Bing이라는 검색 사이트가 있습니다. 많이 등록해둬서 나쁠 건 없으니까 구글 서치 콘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이어 Bing도 등록하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우선적으로 아래의 링크로 들어가서 구글 서치 콘솔 먼저 등록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러면 빙도 쉽게 등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 서치 콘솔 등록방법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데 구글 서치 콘솔이란게 있더라고요. 구글 검색에서의 실적 파악, 검색 노출(높은 트래픽을 사이트로 유도)이 잘 될 수 있게 해주는 툴이라고 하는데, 제 블로그 등록하

combee.tistory.com

 

 

티스토리 블로그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웹마스터 도구 등록하기

구글 서치 콘솔 등록하기에 이어서 네이버 웹마스터라고 네이버에도 노출을 도와주는 도구가 있더라고요. 구글 서치 콘솔이랑 차이는 뭔데? 라는 의문점이 있으실 수 있는데, 구글은 구글에서

combee.tistory.com


1. Bing webmaster tools 접속

빙 웹마스터 도구로 구글에 검색하거나, 아래 사이트를 통해 접속합니다.

https://www.bing.com/webmasters/about

 

Bing 웹 마스터 도구

 

www.bing.com

2. 로그인

구글 서치 콘솔을 이미 등록하신 분이라면 해당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해주세요. 정보를 가져와서 쉽게 등록할 수 있습니다.

3. 구글 서치 콘솔 가져오기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를 가져올 것이기 때문에 왼쪽 가져오기를 클릭해줍니다.

4. 계속 - 로그인 - 액세스 허용

가져오기를 클릭하고 나면, 계속, 로그인, 액세스 허용을 차례대로 눌러줘서 진행합니다.

5. 구글 서치 콘솔에서 가져오기

아래의 화면과 같이 뜰텐데 가져오기를 클릭해서 정보를 가져와주면 등록이 완료됩니다.

6. 등록 확인

등록 후 사이트맵 메뉴에 가보시면 아래와 같이 등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와 같이 시간이 좀 걸리는 것 같으니 꾸준히 모니터링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OECD 근로시간 통계에 대한 보도자료 자주 보시죠? 한국이 OECD 중 근로시간 가장 길다 .. 어떻다... 하는데 이 통계에 오류가 있고 해석이 잘 못 되었다는 보고서가 있어서 읽어 봤습니다. 아래 내용은 보고서에서 인상 깊게 읽은 부분들을 발췌하고 메모한 내용입니다.


 

OECD의 1인당 연간 근로시간 통계는 한국이 장시간 근로 국가임을 뒷받침하는 논거로 흔히 인용된다. 하지만 한국은 자영업자 비중이 큰 반면 시간제 근로자의 비중은 작은 탓에, 연간 근로시간이 길게 나타나는 측면이 있다. 자 영업자 및 시간제 근로자 비중의 영향을 고려 할 경우 한국의 근로시간은 여전히 비교적 긴 편이지만, 여타 OECD 국가와의 근로시간 격차는 기존에 알려진 수준보다 상당히 작은 것으로 추정된다.

 

가장 최근 연도인 2022년 기준 한국의 1인당 연간 근로시간은 1,901시간(전체 취업자 기 준)이며, OECD 회원국 평균(1,752시간)보다 149시간 더 길다. 이 수치를 접하는 사람들은 대개 야근 및 주말 초과근무에 시달리는 한국의 직장인들을 떠올릴 것이다. 그러나 OECD의 연간 근로시간 통계는 주 40시간 이상 일하는 전일제 임금근로자 뿐만 아니라, 주 30시간 미만으로 단시간 근무하는 근로자(시간제 근로자) 및 자영 업자 등 모든 형태의 취업자를 대상으로 한다. 이 통계의 목적이 한 국가의 총노동 투입량을 측정하는 것이지, 국가 간 장시간 근로 현황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국가마다 자영업자 및 시간제 근로자 비중이 상이하므로, 이에 대한 고려 없이 서로 다른 국가의 1인당 평균 근로시간을 단순 비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한국의 연간 근로시간은 코로나19 충격이 한정적이었고, 장기적으로는 빠르게 감소해 왔다. 이와 관련된 주요 요인으로는 경제성장에 동반된 생산성 향상 및 장시간 근로 관행의 개선을 위한 제도적 노력이 있다. 하지만 이런 감소 추세에도, 한국의 연간 근로시간은 여전히 여타 국가에 비하여 상당히 긴 수준이다. 2022년 기준 전체 취업자의 1인당 연간 근로시간은 한 국(1,901시간)이 OECD 전체 38개 회원국 중 5위이며, OECD 평균(1,752시간)보 다 149시간 더 길다.

 

좌측 그래프 자영업자 비중과 연간 근로시간의 상관관계 그래프를 보면 우상향 하고 있다. 우측 그래프 시간제 근로자 비중과 연간 근로시간의 상관관계 그래프를 보면 우하향 하고 있다. 이는 1인당 연간 근로시간은 전체 취업자 중 자영업자 비중이 커질수록 길어지며, 반대로 시간제 근로자 비중이 커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은 다른 국가에 비해 자영업자 비중이 크고 시간제 근로자 비중이 작은 탓에 1인당 연간 근로시간이 비교적 길게 나타나는 측면이 있다. 이러한 취업형태 구성의 차이를 통제하면, 한국과 여타 OECD 국가의 연간 근로시간 격차가 약 31% 감소한다. 다만, 자영업자 및 시간제 근로자 비중의 영향을 고려하더라도, 한국은 비교적 장시간 근로 국가이다.

 

2010~21년 기간에 줄어든 한국의 1인당 연간 근로시간 중 약 33%가 자영업자 비중의 감소 및 시간제 근로자 비중의 증가에 기인한다.

 

통계 수치를 부정확하게 이해하여 잘못된 결론을 도출하는 행태를 흔히 ʻ통계의 함정’이라고 일컫는다. OECD 연간 근로시간 통계는 함정이 많은 통계자료이며, 따라서 정확한 이해에 바탕한 면밀한 해석이 요구된다. 서로 다른 두 국가 간의 1인당 연간 근로시간을 비교하고자 할 때, 오해의 여지가 가장 적은 명확한 방법은 동일한 취업형태끼리 비교하는 것이다. 즉, 전일제 근로자는 전일제 근로자와, 시간제 근로자는 시간제 근로자와 비교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요약>

1. 한국은 자영업자 비중이 큰 반면 시간제 근로자의 비중은 작아서 연간 근로시간이 길게 나타난다.
2. 하지만 자영업자 및 시간제 근로자 비중의 영향을 고려하더라도 한국은 비교적 장시간 근로 국가이다.
3. 2010년부터 한국의 1인당 연간 근로시간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이는 자영업자 비중이 줄고 시간제 근로자 비중이 늘었기 때문이다.
4. 통계자료를 볼 때는 그 통계의 생성 목적, 지표의 구성을 봐야한다. 통계의 함정을 조심하자. 

 

참고자료: KDI FOCUS OECD 연간 근로시간의 국가 간 비교분석과 시사점, 2023

반응형
반응형

2024년에 열리는 아시안컵 일정 소개드립니다. 전체 조 소개 및 한국 일정 소개 드릴게요.


1. 그룹 스테이지

가장 중요하고 궁금한 건 한국 일정이니까 그룹은 뒷 그룹이지만 한국 일정 먼저 소개드릴게요.

한국은 E조에 속해 있습니다. 말레이시아, 요르단, 바레인과 같은 조네요. 그룹 스테이지는 쉽게 통과할 것 같습니다.

주요 일정은

1월 15일 월요일 오후 8시30분 대한민국 vs 바레인

1월 20일 토요일 오후 8시30분 대한민국 vs 요르단

1월 25일 목요일 오후 8시30분 대한민국 vs 말레이시아

입니다.

시간대는 모두 8시 30분 황금시간대네요. 퇴근하고 재미있게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이제 나머지 그룹은 어떻게 속해 있는지 정도만 간단하게 알아볼게요.

그룹 A에는 카타르, 중국, 타지키스탄, 레바논이 속해 있습니다.

그룹 B에는 호주, 우즈베키스탄, 시리아, 인도가 속해 있습니다.

그룹 C에는 이란, 아랍에미리트, 홍콩, 팔레스타인이 속해 있습니다.

그룹 D에는 일본, 인도네시아, 이라크, 베트남이 속해 있습니다. 한국 조 다음으로 가장 눈여겨 볼 조는 아마 D조가 아닐까 싶네요. 아무래도 우승후보라고 하는 일본이 속해 있으니까요.

그룹 F에는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키르기스스탄, 오만이 속해 있습니다.

 

정리해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2. 16강

16강은 한국이 E조에서 3등 안에 든다면 진행하게 되는데요.

E조 1위는 D조 2위와, E조 2위는 F조 1위와, E조 3위는 D조 1위 또는 A조 1위와 게임을 진행하게 됩니다.

경우의 수를 나눠서 한 번 볼게요.

E조 1위 시: 1월 31일 8시 30분 vs D조 2위

E조 2위 시: 1월 31일 새벽 1시 vs F조 1위

E조 3위 시: 1월 29일 8시 30분 vs D조1위 or 1월 30일 vs A조 1위

로 경기를 진행하게 됩니다.

 

평가를 봤을 때는 조 1위를 할 것 같은데요. 혹시나 일본이 조에서 2위를 한다면(거의 그럴 확률은 없겠지만), 16강에서 일본을 만나는 최악의 변수를 만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진짜 안전빵이라고 하면 오히려 일부러 2위를 해서 F조 1위를 만나는 것이고, 일본 입장에서도 완전 안전빵은 D조에서 1위를 해서 16강에서 한국을 만날 확률을 확실히 없애는 것이겠죠?


16강은 나중에 어느 정도 조별 순위가 확정되면 한 번 정리해서 다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2024년 최저 시급은 9860원인데요. 이를 반영한 2024 연봉별 실수령액 표를 만들어서 공유드립니다. 연봉별 실수령액은 개인에 따라 상세 차이 날 수 있습니다.(부양가족 없는 20~30대 미혼 기준, 2024년 적용 4대 보험 요율 반영 실수령액)


세후 200이 되는 연봉은 2700만원 입니다.

세후 300이 되는 연봉은 4200만원 입니다.

세후 400이 되는 연봉은 5800만원 입니다. 이 정도만 되도 좋겠네요.

세후 500이 되는 연봉은 7600만원 입니다.

세후 600이 되는 연봉은 9200만원 입니다.


이제 2024년이 거의 다 왔네요. 연봉 협상 모두 잘 되셔서 원하시는 금액 받으실 수 있길 기원합니다.

* 이미지는 출처만 남겨주시면 자유롭게 사용하셔도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