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지고 있던 카드 유효기간이 다 되서 자동갱신 카드 발급 안내가 왔는데 쓰지 않는 카드라서 삭제를 했습니다. 삭제하는데 생각보다 메뉴를 꽁꽁 숨겨둬서 귀찮았는데, 쓰지 않는 카드 삭제에 도움이 되시라고 글 올려봅니다.


1. 우리카드 어플 실행 후 어플 상단 검색(돋보기 모양) 클릭

2. "카드해지" 검색

3. 개인 모바일 > MY > 내 카드 관리 > 카드해지/취소 클릭

4. 삭제할 카드 선택 후 해지 클릭

5. 삭제 완료

반응형
반응형

아이폰을 사용하는데 업무나 개인적 선호(게임 등)로 인해 윈도우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을거에요. 저도 그런 케이스인데 블로그에 사진을 올리려고 하는데, 사진 옮기기가 불편해서 윈도우11과 아이클라우드 연동 방법을 알아봅니다.

 

윈도우 11기준 입니다. 윈도우10도 유사할 것으로 예상되니 참고해서 해주시면 됩니다.

 

1.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아이클라우드 다운로드

아래 링크에서 윈도우용 아이클라우드를 다운로드 해줍니다.

https://apps.microsoft.com/detail/9PKTQ5699M62?hl=en-us&gl=US

 

iCloud - Official app in the Microsoft Store

iCloud for Windows keeps your photos, files, calendar, contacts, passwords and other important information in sync between your iPhone and your Windows PC, automatically. iCloud Photos • Keep your photos up to date across all your devices and your PC.

apps.microsoft.com

 

2. Download 클릭

3. 설치 클릭

4. 아이클라우드 로그인

5. 공유 항목 선택 후 적용 클릭

저는 어차피 아이폰에서도 크롬으로 연동을 해둬서 책갈피와 암호 연동이 필요없어서, 클라우드 드라이브와 사진만 공유하도록 했습니다.

6. 고급 설정

사진 오른쪽에 옵션을 눌러보면 고급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고급 설정은 애플에서 사용하는 고효율 포맷 다운로드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HE애플에서 사용하는 사진 포맷으로 기존 JPEG 등 잘 알려진 사진 포맷과 동일한 화질을 유지하면서 저용량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이폰에 많은 사진을 저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래서 고효율(동일 품질, 낮은 용량)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보통 사진을 PC로 보면서 블로그에 업로드 하거나 누군가와 공유할 때는 JPEG가 편하므로 특별한 이유가 아니라면 체크하지맙시다.

7. 확인

사진의 옵션을 눌렀을 때(위의 사진) 확인할 수 있는 iCloud 사진 경로로 들어가서 사진이 제대로 들어있는지 확인합니다.

 

이렇게 하면 연동이 완료됩니다.

 

+) 추가 설명

[아이클라우드 -> 윈도우]

아이클라우드에 있는 파일이나 사진을 로컬(내 컴퓨터)로 다운로드 받고 싶을 때는, 해당 경로로 들어가서 원하는 파일을 로컬로 복사하면 됩니다.

[윈도우 -> 아이클라우드]

로컬(내 컴퓨터)에 있는 사진을 넣고 싶은 경우에는 위의 사진에 있는 iCloud Drive와 iCloud 사진 경로에 파일을 넣어주면 됩니다.

단, IOS와 Windows는 연동이 완벽하지는 않으므로, 파일명은 한글을 쓰지말고, 영어와 숫자로만 쓸 수 있도록 합시다.

 

[클라우드와 로컬의 간단한 차이]

로컬(내 컴퓨터(보통C드라이브를 말함))에 용량이 5GB밖에 안 남아있어요. 그런데 제 아이클라우드에는 이미 용량이 30GB가 차있어요. 이럴 때 컴퓨터랑 아이클라우드랑 연동하면 용량이 부족하지 않나요?
-> 클라우드는 로컬과 별개의 저장소입니다. 로컬에 5GB에 없더라도 아이클라우드라는 애플이 구축해놓은 서버에서 파일만 불러오는 것이기 때문에 상관없습니다. 설정해놓은 사진 경로에 들어가서 해당 사진을 로컬(내 컴퓨터)에 다운로드 받을 경우 로컬에 그 사진만큼의 용량이 늘어나는 개념. 반대로 로컬의 사진을 아이클라우드에 올리면 아이클라우드 용량이 증가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직장인 건강검진 후 확인 방법을 핵심만 빠르게 알아봅니다.

 

<순서>

1. 국민건강보험 사이트 접속

2. 건강IN - 나의건강관리 선택

3. 좌측 메뉴에서 건강검진 결과조회 선택

4. 로그인

5. 보안문자 입력

6. 검진 결과 조회

 

1. 국민건강보험 사이트 접속

아래의 링크를 누르거나, 구글이나 네이버에 "국민건강보험"을 입력 후 접속합니다.

https://www.nhis.or.kr/nhis/index.do

 

국민건강보험

이벤트 1 / 8

www.nhis.or.kr

 

2. 홈페이지에서 건강IN - 나의건강관리 선택

홈페이지에 접속 후 상단에 건강IN - 나의건강관리를 선택해줍니다.

3. 건강검진 결과조회 선택

좌측 메뉴에서 건강검진 결과조회를 선택합니다.

4. 로그인

공인인증서나, 간편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해줍니다.

 

5. 보안문자 입력

페이지에 나타나는 보안문자를 그대로 입력해줍니다.

 

6. 건강검진 결과 조회

건강검진 결과를 조회합니다. 건강검진은 과거에 받았던 검진 결과도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말이면 건강검진 결과를 받는 분들이 많아서, 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아도 국민건강보험쪽으로 정보가 넘어가서 처리되는 절차의 시간이 조금 더 걸릴 수 있다고 합니다. 검진 받고 1~2주 후 확인해보면 되고, 그래도 결과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병원측에서 국민건강보험쪽으로 정보를 못 넘겼을 수 있기 때문에 병원측으로 전화해서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