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EARCH GPT 란?

We’re testing SearchGPT, a temporary prototype of new AI search features that give you fast and timely answers with clear and relevant sources.

open ai에서 새로 개발한 검색 엔진으로 현재는 프로토타입의 형태입니다. 사용은 불가능하고 미리 사전 등록이 가능한 것으로 보이니 관심 있는 사람은 open ai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하면 됩니다. 매우 간단하니 금방 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

search gpt의 검색 화면
search gpt의 검색 화면

검색화면은 기존 gpt와 동일하게 챗봇 형태입니다. 아무래도 대화 형식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보니 크게 변화는 시키지 않은 모양입니다. 나중에 정식 출시가 만약에 된다면 어떻게 될 지 모르겠지만 지금 봤을 때는 깔끔하고 좋네요.

 

검색 결과

search gpt의 검색 결과
search gpt의 검색 결과

검색 결과가 조금 특이하긴 한데 오른쪽에는 이미지와 함께 게시물 내용이 요약해서 제공되고, 왼쪽에서도 리스트 형태로 비슷하게 제공되네요. 지금 이 이미지만 봤을 때는 좌측과 오른쪽의 차이점을 잘 모르겠는데 좌측에서 신기한 점은 sns 처럼 좋아요, 싫어요 표시를 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마 저 좋아요, 싫어요를 통해 계산을 해서 앞으로 노출될 결과물의 형태를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네요. 

 

추가 질문

지속적인 대화를 통한 참여율 향상
지속적인 대화를 통한 참여율 향상

검색 결과가 나오면 검색 결과에 대해 질문을 하고 공감을 하면서 대화형식으로 서치를 진행할 수 있어 차별점이 있다고 합니다. 사실 구글에 검색하는 것과 차이점을 저는 잘 못 느끼겠네요. 그냥 검색하던 검색어를 대화 형식으로 물어볼 수 있다는 건데... 거기에서 차이점을 느낄 수 있나?는 잘 모르겠네요. 

 

open ai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강조하고 있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중요한 정보를 어떻게 보여주고, 정보 제공자와 질문자 상호 참여성을 높이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합니다.

 

In addition to launching the SearchGPT prototype, we are also launching a way for publishers to manage how they appear in SearchGPT, so publishers have more choices.In addition to launching the SearchGPT prototype, we are also launching a way for publishers to manage how they appear in SearchGPT, so publishers have more choices.

위의 문구를 보면 정보의 게시자는 자신이 올린 게시물이 어떻게 서치gpt에서 보여지게 될 지에 대해서도 정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설정에 따라 노출의 빈도가 달라질 것도 같아 어떻게 구성될지 궁금한 부분입니다. 즉 search gpt는 정보 게시자가 자신의 정보의 노출에 대해서도 조정할 수 있고, 검색하는 사람도 좋아요, 싫어요를 통해 자신이 노출될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형태로 보입니다. 검색하는 사람이 어떤 정보에 노출될 지 정할 수 있는 것은 기존 구글 검색에는 없던 형태라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광고 수익

광고 수익은 어떻게 변경되게 될까요? 현재 가장 사용이 활발한 구글을 기준으로 본다면 구글 애드센스를 통해 게시자에게 수익이 창출되는 형식입니다. 예를 들어 내가 게시물을 올리고, 검색자가 내 게시물을 클릭하는 순간 광고에 노출되고, 그 수를 카운팅해서 게시자에게 수익이 돌아가는 형식이죠. 오픈 ai의 서치gpt는 어떻게 수익 구조를 만들까요?

검색 광고 대표 주자 구글 애드센스
검색 광고 대표 주자 구글 애드센스

(1) 대화형 콘솔에서 나타난 검색 결과를 클릭한다면 해당 링크로 접속하게 되고, 기존과 동일하게 애드센스 광고에 노출되면서 구글에서 수익이 분배 되는 방식

-> 기존과 구조는 변경되는 사항이 없으나 gpt를 통해서 페이지로 접속하게 됩니다. 아마 가능성이 가장 높지 않을까 싶어요. 광고 수익을 게시자들에게 또 분배할 필요는 없으니까요. 이 방식에서 중요한 부분은 게시자가 search gpt에 자신의 글을 노출시키는 것에 대해 동의할 것인지가 중요하고, 이것에 대한 절차가 만들어져야 할 것입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 블로그를 등록해본 사람들은 알 것인데, 해당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openai의 사이트에 들어가서 search gpt에 자신의 블로그를 등록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2) search gpt에 게시글이 노출된다면 그 노출 수에 따라 수익이 분배 되는 방식. 또한 여기에 더해 그 페이지로 접속하게 된다면 애드센스를 통한 추가 수익이 분배 되는 방식

-> 게시자 입장에서는 이중 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좋을 것으로 보이는데 open ai 입장에서 진행할지는 의문입니다. search gpt에 자체 광고를 달지 않는 이상은 이럴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search gpt는 당연히 무료로 풀릴 것으로 보이는데 거기에 더해 게시자들에게 광고 수익을 더 분배 한다는 것이 가능할까 싶습니다. 

 

중요한 것은?

검색에서 중요한 것은 정확한 정보를 주는 것, 신뢰성 있는 정보를 주는 것입니다. 속도는 이미 실시간 대화 수준으로 올랐으므로 걱정이 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보, 신뢰성 있는 정보를 주는 것은 기존 챗봇들의 문제인 환각 문제와 연관성이 있는데 이를 어떻게 해결했을지 궁금하긴 합니다. 

또 궁금한 것은 어떤 모델을 사용했을지입니다. 왜냐하면 모델에 따라 가격도 상이하고 성능도 상이하기 때문입니다. gpt 유료 플랜을 사용하는 사람은 검색 엔진에서도 더 높은 성능의 모델을 적용해서 search gpt를 사용할 수 있을지 궁금한데, 해당 질문에 대한 답은 아직 없었습니다.

 

효과가 있을까?(신규 고객을 창출할 수 있을까?)

개인적으로는 기존 gpt 사용을 하던 사람은 사용해보겠지만 새로운 유입이 크게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사람은 익숙한 것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다. 또한 구글 검색이 크게 불편한 점이 있냐고 질문한다면 그것도 아닙니다. 굳이 옮길 필요가 없는 것이죠. 그렇다고 정보의 질이 search gpt가 그렇게 좋냐?라고 한다면 그것도 아닙니다. 결국 구글에서 검색되는 정보들이 동일하게 나타날 것입니다. 결국 정보 큐레이션의 차이가 중요할텐데 구글에서 나타나는 결과에 비해 얼마나 더 좋은 큐레이션을 해줄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이와 관련해 좋아요, 싫어요는 좋은 기능으로 보이는데 이건 구글에서도 쉽게 도입할 수 있는 기능이니까 그렇게 차별점이 될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중요한건 구글도 이미 ai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글 검색을 해보면 ai 검색 결과를 최상단에 띄워주는데 이와 비슷한 수준일 것 같습니다. 단지 구글에서는 검색 창에서 시작하지만 search gpt는 대화형 콘솔에서 시작을 한다는 것 외에는 차이가 없을 것으로 보여요. 

 

구글의 현재

최근 주춤하고 있는 구글의 주가
최근 주춤하고 있는 구글의 주가

구글은 최근 주가가 주춤하고 있습니다. 실적은 잘 나왔습니다. 대부분 부문에서 실적치를 상회하였고, 긍정적 평가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ai에 대한 회의론과 함께 다음 분기에는 지출이 클 것으로 보인다는 컨센, 그리고 openai에서 search gpt를 발표하면서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openai 보다 조금 늦게 출발했지만 바드에서 제미니로 바꾸고, 검색 ai도 도입하고 어느 정도 잘 따라갔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무엇보다 구글을 높게 평가하는 것은 트랜스포머 모델의 개발 시초이면서, 여러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도 보유하고 있으며, 클라우드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인데요. 아무래도 다른 기업의 서비스나 플랫폼을 가져와서 쓰는 것보다 본인들이 가진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으면 더 시너지를 발휘하기 좋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연구 개발에 쓰이는 비용은 든든한 캐시카우인 유튜브와 검색 광고 부문에서 조달할 수 있습니다. 

 

AI를 통한 특이점이 오는 시점은 언제일까?

최근 AI 관련 기술주들의 주가가 출렁이면서 AI 회의론이 점점 떠오르고 있습니다. 또한 애플은 애플 인텔리전스 랍시고 발표를 하기는 했지만 결국 삼성에서 하는 것 이상의 뭔가를 보여주지는 못했습니다. 물론 퀄리티는 더 좋을 것입니다. 아무래도 내부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기 때문이고, 애플의 생태계가 애초에 너무 잘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특이점이 오는 시점은 언제일까요? 제가 생각하기에 특이점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은 영화 her 처럼 실시간 대화 형식으로 자유롭게 대화를 할 수 있는 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건 얼마 남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2~3년 내에 구현은 가능할 것으로 보이고(이미 구글 io와 open ai 기술 포럼에서도 발표가 됨), 기술이 본격적으로 퍼지기 시작하는것은 넉넉 잡아도 2030년에는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영화 her의 ai와 대화하는 장면
영화 her의 ai와 대화하는 장면

왜 영화 her를 특이점의 시작으로 보냐에 대한 대답은, 다른 AI 접목 기술은 결국 하드웨어의 발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로봇에 AI를 달아서 뭔가를 하는 것은, 소프트웨어는 이미 어느 정도 가능한 수준에 왔지만(챗봇들을 보면 그렇다), 하드웨어는 아직 멀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휴머노이드 형태의 하드웨어가 가장 진보적인 것은 테슬라 쪽으로 보이고, 이것이 사실상 어렵다고 판단한 여러 업체들은 다른 형태의 로봇들을 만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대가 인수한 보스턴 다이내믹스를 들 수 있을 것입니다.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로봇개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로봇개

하드웨어의 발전은 더디기도 하고 조금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는 이미 확실히 her에 나오는 수준에 근접해 있다고 판단됩니다. 실시간성 또한 이미 갖췄습니다. gpt를 써보면 실시간 대화 하듯이 줄줄이 답변이 나오죠. 이제 이것을 온디바이스에서 개인의 스마트폰의 스펙으로 가능하게 만들고, 영상을 보면서 대화를 할 수 있는 수준으로만 만들면 됩니다.(위에서 언급했듯이 이에 대한 프로토 타입은 구글과 open ai에서 이미 구현한 영상이 있다.)

 

ai에 대한 회의론이 점점 퍼지고 있는 지금이지만, 저는 투자를 지속할 것이고 ai 시대가 올 것임은 의심치 않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크롬에는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들이 있습니다. 얼마 전에 친구가 집을 찾는다고 노트북으로 크롬을 켜서 검색을 하는데 "껐다 켤 때마다 크롬 탭이 다 없어져서 아쉽다" 라는 말을 했었는데, 저는 "그거 유지하는 기능이 있는데 왜 안 쓰냐" 하면서 설정을 해줬죠. 생각해보면 단축키도 있고, 여러 기능들도 많은데 지금 쓰는 것에 익숙해져서 외우려고 하지를 않는 것 같습니다. 저도 어느 부분에 대해서는 그런 것 같고요. 그런데 조금만 신경 써서 익혀놓으면 매우 편해서 꼭 익혔으면 하는 크롬 탭 관련 기능들에 대해서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1. 탭 유지하기

크롬을 껐다가 켜도 탭이 유지되는 기능이고 기본적으로는 디폴트가 되어 있지만 크롬 설정에 들어가서 켜주면 됩니다.

크롬 오른쪽 상단 ...을 눌러서 설정을 들어가줍니다.

설정 들어가기
설정 들어가기

왼쪽 메뉴들에서 '시작 그룹'으로 들어가서, 중단한 위치에서 계속하기를 선택해주고 저장해줍니다.

중단한 위치에서 계속하기
중단한 위치에서 계속하기

간편하게 이렇게만 설정해줘도 내가 보던 크롬 또는 컴퓨터를 껐다가 켜도 크롬 탭이 모두 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2. 탭 그룹화

1번의 기능을 사용할 경우 탭이 엄청 많이 쌓이게 되는 것을 경험하게 될겁니다. 그 때 필요한 것이 탭 그룹화 입니다. 탭을 그룹으로 설정해놓으면 보기 좋게 정리할 수도 있고 폈다가 접었다가를 할 수 있습니다.

그룹화 설정
그룹화 설정

간단합니다. 아무 탭이나 우클릭을 해서 그룹에 탭추가 -> 새 그룹을 하고 그룹에 대한 색상 및 이름 설정을 해주면 됩니다. 그룹에 새로운 탭을 추가 하고 싶다면, 새 탭을 드래그 해서 그룹으로 보내면 자동으로 묶어지게 됩니다.

펼 수도 있고
펼 수도 있고
접을 수도 있다
접을 수도 있다

 

3. 탭 관련 유용한 단축키

ctrl + t 새 탭

ctrl + w 탭 닫기

ctrl + shift + t는 껐던 탭 다시 열기

ctrl + tap 또는 ctrl + pageup은 다음 탭으로 이동

ctrl + shift + tap 또는 ctrl + pagedown은 이전 탭으로 이동

ctrl + 1 ~ 9는 숫자에 해당하는 탭으로 이동

 

위의 단축키들은 정말 유용한 단축키들인데요. 특히 새 탭, 탭 닫기, 껐던 탭 다시 열기는 꼭 외우놓으시면 잘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탭 관련 여러 기능들을 알아봤는데요. 이 외에도 몇 가지들 기능이 있을거지만 가장 필수적인 것들은 소개해드린 기능들이니 이 기능들은 모두 익히셔서 사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ios 대비 안드로이드가 그렇듯이 생각보다 크롬은 자유로운 소프트웨어 입니다. 설정에 들어가서 구경해보시면 '이런 기능도 있었어?'라고 하는 것들이 있을 수 있으니 심심하실 때 구경 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2025년 최저임금이 10,030원으로 만 원을 넘게 되었다. 현재 달러 환율로 환산해보면 7달러 30센트(1달러 = 1,377원) 정도다. 주당 40시간 근무를 하는 근로자라면 최소 월급은 209만 원정도다. 2025년 최저임금 10,030원은 올해 최저임금 9,860원 보다 1.7퍼센트 증가한 금액이다.

 

최초로 10,000원을 초과했다는 것만 보았을 때 많이 오른 것처럼 느낄 수 있다. 과연 그럴까? 임금 인상 폭은 2021년 증가분인 1.5퍼센트 이후로 두 번째로 작은 규모다. 사람은 숫자 단위가 변하는 것에 대해 확대 해석 하는 경향이 있는데, 최저임금이 10,000으로 증가한 것도 숫자 단위가 큰 단위로 변화해서 인식의 왜곡이 일어났을 뿐이다.

소비자물가상승률
소비자물가상승률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26

 

국가발전지표

소비자물가상승률 75 최근갱신일 : 2024-05-20 (입력 예정일 : 2024-12-31) 그래프 소비자물가상승률 기간선택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www.index.go.kr

국가발전지표를 살펴보면 2023년 소비자물가상승률을 보면 3.6%다. 결국 임금은 1.5% 올랐을 뿐이고, 소비자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실질 소득은 감소한 것으로 보는게 옳다. "우와 최저 임금 만 원이래. 미친거 아니야?"라고 생각할게 전혀 아닌 것이다.

 

보도가 어떤 식으로 될 지는 잘 모르겠다. 특정 경향을 가진 언론사에 따라 다르게 보도될 것이기 때문이다. 어떤 언론사는 "드디어 최저임금이 10,000원이 넘었다"라는 식으로 10,000원이라는 수치를 강조한 제목을 대문짝만하게 실을 것이며, 어떤 언론사는 "최저임금 1.7% 상승, 역대 두 번째로 낮은 수치" 처럼 상승률을 강조한 제목을 걸어서 보도할 것이다.

 

각 언론사는 특정 정치적 성향을 가졌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그걸 알고 보도를 봐야한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언론사 보도는 참고만 하고 직접 수치를 찾아 보는 것을 추천한다. 조회수 팔이를 위해 자극적인 제목이나 수치 및 그래프 왜곡을 하는 경향이 최근 높아졌다. 해석이나 판단도 혼자 생각해보고 하는 힘을 기르자.

반응형
반응형

왜 필요한가?

원래 필요했지만 최근 몇 가지 필요성으로 인해 영어를 잘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 한국에서 번역된 신간 책을 보면 대부분 원서로는 이미 나온지 몇 년이 지난 책들이 대부분이다. 

2. 번역에서 오는 괴리감 때문에 책을 못 읽겠다.

3. 객관적으로 보는 한국에 대한 생각이 궁금하다. - 외국 뉴스, 유튜브

4. 회사에서의 필요성

 

번역기의 성능이 좋아 어느 정도 커버가 되지만 그래도 부족한게 현실입니다. 항상 다짐 해왔지만 "이번에는 진짜로 성공하리라는 생각으로, 하지만 이번에는 천천히 내 필요성에 의해서 해보자"라고 생각했습니다.

 

어떻게 할까?

'어떻게 할까?'가 중요해서 여러 정보를 찾아봤는데 가장 공감이 갔던 것은 타일러의 '환경을 만들어라'라는 내용이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qdrXIWYt10

 

영상이 큰 도움이 되니 관심 있으신 분은 모두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요약하자면 "일상에서 영어를 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라"고 가장 쉬운 방법으로는 스마트폰의 언어 설정, 유튜브와 인스타 등 sns의 피드를 조작(알고리즘 조작)해서 영어 콘텐츠에 노출시키기 입니다.

 

바로 윈도우 시스템 옵션에서 언어를 영어로 바꿨고, 스마트폰도 설정을 바꿨습니다.

언어 바꾼 후 설정 화면
언어 바꾼 후 설정 화면

좀 어색하긴 한데 단어도 쉽고, 원래 봐왔던게 있다 보니 쓰는데 지장은 없습니다. 일단은 많이 노출 시키자는 생각으로 모두 바꿨고 보는 콘텐츠도 모두 바꾸려고 생각중입니다. 예를 들어서 뉴스는 bbc, cnn world news를 보거나 커뮤니티는 reddit에서 좋아하는 분야로 들어가서 콘텐츠를 접하려고 합니다.

한국에 대한 뉴스를 영어로 제공해주는 아리랑뉴스
한국에 대한 뉴스를 영어로 제공해주는 아리랑뉴스

아리랑 뉴스로 보면 좋은게 어쨌든 한국에 대한 뉴스는 실제로 주변에서 접할 수 있고, 문화적으로도 우리의 문화다 보니까 내용 자체가 이해가 안 가도 대충 뭔 말인지 알아 들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초보자한테는 bbc나 cnn 뉴스로 바로 가는 것보다 아리랑으로 보는게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아리랑 뉴스에 들어가보면 여러 분야들이 있는데 본인이 관심 있는 분야를 보면 좋습니다. 저는 life/culture, economy만 볼 것 같아요.

 

위에서 말한 알고리즘 조작은 쉽습니다. 5분 정도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한 영어 콘텐츠를 검색해서 반복적으로 눌러주면 자동 추천 알고리즘에 의해 영어 콘텐츠가 뜰겁니다. 레딧에서는 레딧 안에 주제별로 나눠진 작은 소규모 커뮤니티가 있으니 관심 있는 커뮤니티에 들어가서 글들을 보면 됩니다. 저는 게임을 좋아하니 스팀 관련 글들을 네이버 카페나 인벤 등에서 봤었는데, 레딧에서 아래와 같이 검색해 들어가면 됩니다. 패션이면 패션 음악이면 음악 이런 식으로 검색해서 들어가면 괜찮은 정보들도 많아요. 특히 스포츠 관련 뉴스는 한국에서 업데이트 되는 것보다 훨씬 빠르니 스포츠 좋아하시는 분들도 좋을거에요.

레딧의 커뮤니티
레딧의 커뮤니티

 

영상 콘텐츠 보시는 분도 많은데 저는 개인적으로 1시간 정도의 긴 영상 콘텐츠를 좋아하지 않아서 아직은 보지 않을 것 같아요. 애초에 원하는 것도 영어 텍스트 콘텐츠를 읽고 싶은 것이기 때문에 추후 필요하다면 진행할 것 같네요. 영상 콘텐츠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타일러 영상 보시면 영상 콘텐츠 어떻게 이용하면 될지에 대한 정보도 있으니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이제 시작 단계라 실제로 효과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몇 달후에 어떻게 변한지 확인 해보는 것도 재밌을 것 같아요.

반응형
반응형

아마존에서 e북을 구매하려고 하는데 구매를 눌러도 구매가 되지 않아 해결법을 알아봤습니다.

 

원래라면 구매하고 싶은 책을 고른 다음에 아래의 buy now wiht 1-click 버튼을 누르면 구매가 되어야 하는데 다른 메시지가 뜹니다.

구매 버튼
구매 버튼
중요 메시지
중요 메시지

지역에 따라 다르게 책 값이 부과가 되는데 지역 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안 되는 것 같습니다. 

manage your content and devices를 눌러줍시다.

 

상단 메뉴에서 preferences로 이동하면 지역 설정이 비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harge를 눌러 설정해줍시다.

지역 설정해주기
지역 설정해주기

지역 설정 창에는 아래와 같은 정보를 작성하면 됩니다.

FULL NAME: 이름

ADDRESS1: 도로명

ADDRESS2: 아파트 동 호수

CITY: 시군구

STATE/PROVINCE/REGION: 도시명

ZIP CODE: 우편번호(ZIP코드 말고 본인 우편번호 작성하시면 됩니다.)

그 아래 나라 선택에 한국은 KOREA, REPUBLIC OF로 되어 있으니 리스트에서 찾으시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정상적으로 변경이 완료됩니다.

변경 완료
변경 완료

다음 바로 위의 digital payment settings에서 결제 카드 등록을 해줍시다.

카드 등록하기
카드 등록하기

방금 등록한 주소가 맞는지 확인하고 아래에 use thise address를 누르고 카드 정보입력을 하시면 카드 등록이 됩니다.

 

확인
확인

확인 후 오른쪽 컨티뉴를 눌러주면 완료됩니다.

 

다시 책 구매를 하러 가보니 지역 반영이 되서 가격이 변동되었네요. 환율도 사악한데 흠... vpn 써서 더 싸게 하는 법도 있을 것 같긴한데 굳이 그렇게까지 하고 싶진 않네요.

 

가격이 변동됨
가격이 변동됨

이제 buy now with 1 click를 누르면 정상적으로 구매가 완료되네요.

 

반응형
반응형

저출산으로 떠들썩한 요즘 기형아 비율이 늘고 있다는 소리나 커뮤의 댓글들이 많아서 기사나 통계를 좀 찾아봤습니다.

대부분의 주장은 "노산으로 인해서 기형아 많이 늘고 있다" 입니다. 

근데 이게 사실일까요?

10년간 출생아 및 선천성 기형아 추이
10년간 출생아 및 선천성 기형아 추이

말만 보면 맞아 보이는 말입니다만 실제로는 틀린 말입니다. 그 요인으로는 2개가 있습니다.

1. 출생아 수의 줄어듦

단순 숫자로 보면 선천성 기형아 비율이 높아진 것은 맞습니다.

그런데 여기에 영향을 준 것은 출생아 수라는 분모가 줄어든 영향이 아주 큽니다.

산식을 보면 이렇겠죠? "선천성 기형아 수/출생아 수" 그런데 여기서 출생아 수인 분모가 엄청 줄었기 때문에 비율 자체가 커지는 것처럼 보이는 겁니다

2. 기형아 판별 기술 및 정확도 향상

20세기 벌어진 범죄들 중 범죄자를 잡지 못한 이유로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범죄를 잡을 수 있는 기술의 부재가 컸습니다. 21세기에 들어와 범죄를 잡을 수 있는 기술이 발달하면서 범죄 검거율은 높아지고, 범죄는 크게 줄어들었죠. 기형아 판별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기술이 발달되면 기형아 판별율 자체가 많이 높아졌습니다. 그래서 분자에 해당하는 선천성 기형아 수는 사실상 줄어든게 맞습니다. 왜냐하면 기술의 발달로 판별율은 높아졌는데 수치는 8~9만 정도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1번에 해당하는 출생아 수가 줄어든 이유는 무엇일까요? 여성들의 초산 연령이 높아졌기 때문인데요. 여기서 이제 주장의 조작이 들어갑니다. 1번의 애초인 이유가 초산 연령이 낮아졌기 때문이니까 -> 노산 때문에 기형아가 많아졌다로 근거 없이 그냥 댓글과 주장을 하는 겁니다. 실제의 이유인 출생아 수 줄어듦, 기형아 판별 기술 향상의 이유를 제외한채로 말이죠. 더구나 출생아 수가 줄어든 이유를 여성들의 초산 연령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라고만 하기도 무리가 있죠. 여러 요인들이 있을거니까요. 

 

이래서 인터넷 상에 떠도는 글들을 비판적으로 봐야하고, 통계를 제대로 찾아봐야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제대로 모르는 내용에 대해서는 어디에 가서 떠벌리지도 말아야하고요.

반응형
반응형

200개 채광으로 노가다 좀 그만하자
200개 채광으로 노가다 좀 그만하자

저번에는 재, 넋, 뼈 노가다를 치트키로 빨리 얻는 법을 알아봤었는데요. 오늘은 채광도 알아볼게요. 

 

하데스2 재, 넋, 뼈 치트키로 노가다 스킵

노답 삼대장이 있듯이 하데스2에는 기본 재료(노가다) 3대장이 있습니다. 재, 넋, 뼈 가장 필수 재료들이죠. 게임을 즐기는 것도 좋은데 재료 수급은 스트레스를 주죠. 그리고 저같은 직장인들은

combee.tistory.com


1. 경로 설정, 2. 백업 해주기는 전 글에서도 똑같이 설명했던 내용이니 잘 이해가 안 가신다면 위 링크에서 스크린샷을 확인해주세요.

 

1. 경로

저번 글과 같습니다. 

... steam > steamapps > common > hades2 > content로 이동해줍니다.

 

2. 백업 해주기

Scripts 폴더를 그대로 복사해서 백업해둡니다. 

 

3. HarvestLogic.lua 파일 메모장으로 열기

스크립트 폴더 내 HarvestLogic.lua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줍시다.

harvestlogic 파일 초기 모습
harvestlogic 파일 초기 모습

 

4. 181행으로 이동 또는 "resourcecount *" 검색

181행에 보면 AddResource( source.ResourceName, resourceCount * resourceTimes, source.Name )

라는 부분이 있을 겁니다.

앞에 숫자를 적어주자
앞에 숫자를 적어주자

AddResource( source.ResourceName, 200 * resourceCount * resourceTimes, source.Name )

과 같이 resourceCount 앞에 채광하고자 하는 수량과 * 를 입력해주면 됩니다. 

200을 입력하면 채광 1회에 200개가 채광됩니다.

200개를 한 번에 채광하기
200개를 한 번에 채광하기

플레이 타임을 늘리기 위해서라고 하지만 노가다는 너무 싫네요... 학생이나 백수면 상관 없는데 직장인이라 노가다 부분은 없애고 필요한 재료들은 대부분 수급된 상태에서 전투만 즐기고 싶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999획득
999획득

노답 삼대장이 있듯이 하데스2에는 기본 재료(노가다) 3대장이 있습니다. 재, 넋, 뼈 가장 필수 재료들이죠. 게임을 즐기는 것도 좋은데 재료 수급은 스트레스를 주죠. 그리고 저같은 직장인들은 이런거 노가다 하기 귀찮은게 대부분입니다. 재, 넋, 뼈의 획득량을 높여서 빨리 얻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채광 재료 관련 치트키는 아래에서 확인해주세요.

 

하데스2 채광 치트키로 재료 빨리 얻는 법

저번에는 재, 넋, 뼈 노가다를 치트키로 빨리 얻는 법을 알아봤었는데요. 오늘은 채광도 알아볼게요.  하데스2 재, 넋, 뼈 치트키로 노가다 스킵노답 삼대장이 있듯이 하데스2에는 기본 재료(노

combee.tistory.com


1. 경로

... steam > steamapps > common > hades2 > content로 이동해줍니다.

경로는 아래 이미지 처럼 스팀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로컬 경로를 확인해서 이동해주자
로컬 경로를 확인해서 이동해주자

2. 백업 해주기

Scripts 폴더를 그대로 복사해서 백업해둡니다. 

Scripts 폴더에 있는 파일을 수정할 것인데 혹시 문제 생길 경우 해당 폴더를 다시 덮어서 문제를 해결할 예정입니다.(제대로만 따라 하시면 문제 일어날 일은 없으니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스크립트 폴더를 복사해서 백업해주자(필수)
스크립트 폴더를 복사해서 백업해주자(필수)

3. ConsumableData.lua 파일 메모장으로 열기

ConsumableData.lua 라는 파일을 메모장으로 편집하기를 통해 열어줍니다.

ConsumableData.lua 파일 초기 모습
ConsumableData.lua 파일 초기 모습

4. 재료 검색 후 수정해주기

1258행 -- Resources부터가 수정할 수 있는 곳입니다. 검색(Ctrl + F)으로 "-- Resources" 를 입력해줍니다.

리소스로 이동
리소스로 이동

 

각 재료명으로 아래와 같이 수치를 수정해줍니다.

예시: 1290행 MetaCardPointsCommon = 획득할 수 입력

최대값은 확인해보지 않았는데 1000단위까지가 최대일 것으로 보입니다. 확인해보니 999개 이상 재료 소지가 가능하더라고요. 

수치 수정해주기
게임에 접속해서 던전을 돌아보면 정상 수급이 된다
게임에 접속해서 던전을 돌아보면 정상 수급이 된다

행/재료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재

1290행 / MetaCardPointsCommon / 재

넋

1312행 / MemPointsCommon / 넋

1334행 / MetaCurrency / 뼈 

 

값을 수정하고 한 번 던전을 돌아보니 뼈가 많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솔직히 재나 넋은 999 정도만 해두면 충분한데, 뼈는 다른 재료랑도 교환을 많이 해야하다보니 5000 정도는 입력하고 한 번 돌면 될 것 같습니다.

상점에서 달가루, 천 등을 교환하기 위해 뼈 수치를 많이 높이는게 좋을 것 같다
상점에서 달가루, 천 등을 교환하기 위해 뼈 수치를 많이 높이는게 좋을 것 같다

이 외에도 MarketData 등 파일 보니까 기프트카드(검정색 쿠폰 템)등 여러 아이템들 값 수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혹시 기회가 된다면 더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런데 이 세 아이템 정도만 수급 해두면 나머지는 괜찮을 것 같아서 이정도만 해도 되지 않을까 싶네요. 저도 아직 초기라 혹시 후반에 또 노가다 템 수급이 필요하게 된다면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